건강상식

술먹고 필름끊기는 현상 술 마시면 필름 끊기는유형

해몽자 2023. 5. 22.

술먹고 필름이 끊겨서 기억을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술먹고 필름끊기는 현상은 왜 나타날까요? 술먹고 필름끊기는 현 상, 술 마시면 필름 끊기는유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술먹고 필름끊기는 현상>

술먹고 필름이 끊겨 기억나지 않는 현상을 '블랙아웃 현상'이라고 하는데요, 반복될 경우 뇌손상으로 이어져 기억력까지 상 실하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우리 국민들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과도하게 술을 마셔 젊은 나이임에도 자주 필름이 끊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 다.

 

 

술먹고 필름 끊기는 현상(블랙아웃)이란 음주 직전에 습득한 정보나 그 이전부터 가지고 있던 기억을 떠울리는 데에는 별 다른 문제가 없지만, 유독 음주 중에, 그것도 술이 어느 정도 취했을 때 발생한 일들이 어느 순간부터 잘 생각나지 않는 현 상을 말합니다. 

 

과음하면 급격히 혈중 알코올 농도가 상승하며, 뇌가 갑작스럽게 증가하는 알코올 농도를 따라가지 못해 기억을 담담하는 뇌 속의 해마라는 기관이 마비되어 기억을 저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블랙아웃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블랙아웃은 음주량과 상당한 관련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급격한 혈중 알코올 농도 상승이 가장 큰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급하게 많이 마시는 술이 바로 블랙아웃을 유발하는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술먹고 필름이 자주 끊기는 사람들은 어느 정도만 술을 마셔도 매번 필름이 끊기는 현상을 체험합니다.

 

 

<술 마시면 필름 끊기는유형>

블랙아웃은 음주 이후의 일정 기간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총괄적 블랙아웃과 일정 부분들만 기억하지못하는 부분적 블 랙아웃으로 나뉩니다.  

 

 

술마실 때마다 계속하여 필름이 끊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폭음하는 음주 행태가 개선되지 않고 매번 반복되기 때 문입니다.

 

 

<블랙아웃 해결 방법>

알코올이 뇌에 영향을 주기 전에 먼저 간에서 분해될 수 있는 범위에서 마셔야 합니다. 몸무게가 60kg이 나가는 사람이 맥 주 1병을 마시면 해독하는데 약 3시간이 걸리며, 소주 1병을 모두 산화하기 위해서는 13시간이 소비됩니다. 

 

블랙아웃은 술의 양과 마시는 속도에 비례하므로,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술을 마시는 횟수와 양을 줄여야 합니다. 음 주 후 72시간이 지나야 간이 정상적으로 회복되므로 술은 천천히 마시고 한 번 술을 마신 후에는 3~4일은 술을 마시지 말 아야 합니다.

 

 

블랙아웃을 없애려면 술잔을 천천히 비우고, 음주량을 줄이며, 3~4일의 간격을 두고 술자리를 가져야 합니다.

 

또 빈속에 술을 마시지 말아야 합니다. 빈속에 술을 마시면 위벽이 상할 뿐만 아니라 간에도 부담을 주기 때문입니다. 술자 리에서 버티기 위해서는 폭탄주는 피하고 최대한 천천히 술을 마셔야 합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