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고려 광종 노비안검법 광종의 왕권강화책

해몽자 2023. 3. 19.

고려 제4대 왕인 광종은 재위시 노비안검법을 시행하였는데요, 고려 광종 노비안검법은 광종의 왕권강화책의 하나였습니다. 노이안검법과 광종의 왕권강화책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고려 광종 노비안검법>

노비안검법은 양민이었다가 부당하고 억울하게 노비가 된 사람을 조사하여 노비신분에서 해방시켜 주는 제도입니다.

 

고려의 4대 왕인 광종(925~975)은 956년에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들에게 억울하게 노비가 된 양민을 원래의 신분으로 회복시켜 주었습니다. 

 

 

고려 광종은 호족 세력들의  강력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고려의 호족세력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광종의 왕권강화책>

고려 왕권의 수성군주가 되기 위해 피의 군주를 자청했던 광종은 925년에 태어나서 949년에 왕위에 오른 뒤 975년까지 26년간 재위하면서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고려 광종은 백성들을 위하는 한편 왕권을 강화하고 공신과 호족 세력, 귀족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 개혁정치를 단행하였습니다. 

 

 

① 노비안건법

부당하고 억울하게 노비가 된 사람들을 평민으로 해방하여 공신과 호족 세력을 약화시켰습니다.

 

② 과거제도 실시 

959년에는 과거제도를 실시하여 유학을 익힌 실력파 신진세력을 등용하면서 신.구세력의 교체를 도모하였습니다.

 

 

③ 칭제건원 실시 

칭제건원 실시로 '광덕', '준풍'이라는 자주적인 연호를 사용하면서 대외적으로 자주권을 선언하였고 황제로 불렸습니다.

('칭제건원'이란 왕을 황제라 칭하고 연호를 사용함을 뜻함) 

 

 

④ 백관의 공복 제정

왕권강화와 위계질서 유지를 위해 960년에는 공복 제정을 단행했습니다. 보라색, 붉은색, 연두색, 자주색 소매 옷을 정하고 등급에 따라 관복을 입도록 한 것입니다.

 

⑤ 귀법사 창건

호족 세력에 반발하는 일반 민중들을 포섭하고 개혁을 지지해주는 사회적 세력을 구축하고자 963년에 귀법사를 창건하여 적극적인 불교정책을 펼쳐나갔습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반응형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신정변과 갑오개혁 내용  (0) 2023.03.25
고대 인류 진화과정 (인간의 진화과정)  (0) 2023.03.21
잉카제국의 멸망원인  (0) 2023.03.17
민법상 성년나이  (0) 2023.03.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