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용어

로서 로써 차이 구분

해몽자 2023. 8. 6.

'로서'와 '로써'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로서 로써 차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로서 로써 구분>

'로서'는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부사격 조사입니다. 따라서 '선생으로 부족하다' '부모로서 미안하 다' '학생으로서 본분을 다하다' 등과 같이 사용됩니다. 

 

 

'로써'는 ​수단이나 방법 또는 재료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부사격 조사입니다.  따라서 '대화로써 오해를 풀어라' '고충을 말로써 다 표현하기 힘들다' '이 나물은 음식 재료로써 적당치 않다' 등과 같이 사용됩니다.

 

 

<로서>

① 받침없는 체언이나 'ㄹ'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여 지위, 신분, 자격 등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예) 교사로서 학생들을 가르칠 권한이 있다. (지위와 자격)

 

(예) 나는 언니로서 동생을 훈계할 수 있다. (자격)

 

(예) 그녀는 미용사로서 널리 이름이 알려져 있다. (신분)

 

 

② 받침없는 체언이나 'ㄹ'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여 어떤 일의 원인이나 시발점이 되는 대상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 사.

 

(예) 이 일은 나로서 비롯되었으니 내가 책임을 진다. (원인이나 시발점) 

 

 

(예) 이 사고는 그로서 비롯되었으니 그가 책임을 져야 한다. (원인이나 시발점)

 

 

<로써>

① 받침없는 체언이나 'ㄹ'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여 수단, 도구, 재료 등이 됨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예) 서로 싸우지 말고 대화로써 해결해라. (수단)

 

(예) 나의 억울함은 말로써 다 표현하기가 어려울 정도다. (도구)

 

(예) 이 채소는 음식의 재료로써 적합하지 않다. (재료)

 

 

② 받침없는 체언이나 'ㄹ'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여 어떤 일의 기준이 되는 ​시간(시점)임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예) 우리는 올해로써 결혼한지 32년이 되었다. (기준이 되는 시간이나 시점)

 

(예) 나는 올해로써 입사한지 20년이 되었다. (기준이 되는 시간이나 시점)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반응형

'바른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름이 걷히다 구름이 거치다 중 바른 표현은  (1) 2023.10.16
같다 갔다 구분  (0) 2023.10.14
들렀다 들렸다 차이  (0) 2023.06.25
만두국 만둣국 맞춤법  (0) 2023.06.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