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어속담

극기복례인 의미

해몽자 2023. 5. 9.

극기복례인은 어떤 의미일까요? 극기복례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극기복례인 의미

 

<극기복례인 의미>

고사성어 극기복례는 '나를 이겨 예(禮)로 돌아감이 인(仁)이 된다'는 말로, 극기복례가 의미하는 바는 어질고 올바른 마음 가짐으로 사리사욕을 버리고 사람이 지녀야 할 도리를 다하며 국가와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마음으로 생활에 임하는 자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예(禮)'란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키고 행해야 할 도리를 말하며, '인(仁)'이란 공자께서 말씀하신 중심사상으로 어질 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극기복례를 실천하는 사람은 욕심내지 않으며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다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주위를 둘러보면 극기복례의 인과 예를 실천하기는 커녕 과욕으로 인해 선량한 사람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 며 조금도 잘못을 반성하지 않는 철면피가 너무나 많은데요, 이런 현실이 너무나 안타깝습니다.

 

한자는 克己復禮(극기복례)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克 : 이길 극)  (己 : 자기 기)  (復 : 회복할 복)  (禮 : 예절 례)입니다.

 

 

<극기복례 유래>

극기복례의 출전은 '논어의 안연편'입니다. 

 

공자의 제자 '안연'이 '인(仁)'에 대하여 공자께 묻자 공자가 말했다. "자기를 이겨서 예로 돌아가는 것이 인(仁)이니, 단 하루 라도 자기를 이기고 예(禮)로 돌아가면 천하가 '인'으로 돌아갈 것이다. '인'을 행하는 것은 나로부터 비롯되는 것이지 어찌남으로부터 비롯할 것인가?" 

 

 

안연이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다시 여쭙자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예가 아니면 돌아볼 생각을 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행하지 말 것이니라."

 

이 말을 들은 안연은 이렇게 대답했다. "제가 비록 총명하지 못하지만, 이 말씀을 받들어 실천해 보겠나이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반응형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룻강아지 뜻  (0) 2023.05.30
삼인성호의 뜻 삼인성호 유래  (0) 2023.05.18
이심전심 뜻 비슷한말  (0) 2023.04.04
불편한 섶에 몸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  (0) 2023.04.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