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시동걸때 소리

해몽자 2023. 5. 21.

자동차를 시동걸때 소리, 즉, 이상음이 나는 이유를 알면 신속히 정비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자동차 성능을 우 수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에 시동걸때 소리가 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시동걸때 소리>

통상적으로 차량을 시동걸 때 평소와 다르게 나는 이상음은 배터리 계통과 배기관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어떠한 문제가 발생한 것인지 그 이유를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1. 배터리와 시동 계통 이상일 때 

차량을 시동걸때 "끼리리릭"과 같은 소리가 나면서 곧바로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배터리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고 쇠가 부딪치듯이 "끼끽끼끽"과 같이 날카로운 소리가 난다면 배터리도 문제지만 시동 계통에 이상이 있을 수 있으니 즉시 정비해야 합니다.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에는 가장 먼저 배터리에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오디오를 틀어 보거나 차량의 클랙션을 눌러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오디오나 클랙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배터리가 고장난 것이므로 배터리를 교체해야 합니다. 배터리는 사용 하면 할수록 성능이 점차 떨어지기 때문에 보통 2년 또는 40,000km마다 교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동 뿐만 아니라, 야간에 전조등을 켜고 운행할 때 액셀을 밟을 때마다 밝기가 변하거나 와이퍼의 움직임이 눈에 뛰게 느 려질 경우에는 배터리를 교체해야 합니다.

 

 

2. 배기관이 막혔을 때

온도가 낮은 겨울에 시동을 걸 때 "바아아아앙"과 같은 소리가 나면서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가장 먼저 배기관이 막혔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겨울에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이나 스키장과 같은 장소에서 배기관이 얼어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요, 눈을 쌓아둔 곳에 후진 주차를 할 때 머플러에 눈이 들어가 얼면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무리하게 시동을 걸지 말고 얼음이 녹을 때까지 기다리거나, 정비 공장에 연락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사항>

겨울철에 시동을 끄기 전에 공회전은 어떨까요? 통상적으로 아이들링(최저회전 속도에서 안정된 상태) 상태에서 액셀을 밟아 공회전을 하는 것이 좋지는 않지만, 기온이 많이 내려가는 겨울철에는 시동을 끄기 전에 잠깐 액셀을 밟아 엔진을 공 회전시킴으로써 머플러 내부에 있는 물방울을 날려 보내서 머플러 내부에서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반응형

댓글